7/31 DHCP 서비스

2020. 7. 31. 19:04IT/리눅스

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 

 

동적으로 컴퓨터에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한다 

 

1. 무디스크 시스템 - 인터넷전화기(소형단말기) 

네트워크 정보가 설정이 되지 않았다면 전화 x

소형 단말기라 네트어크 정보를 미리 저장해둘 수 없음

 

2. 네트워크 설정을 못하는 사람들도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 

 


 

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> 정적 설정

동적설정은 별도의 시스템이 자동으로 설정해준다

 

동적설정 

장점 :

네트워크 정보 설정으로 네트워크 이용 

단점 : 

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이용 불가

 


RARP      >     BOOTP               >          DHCP

IP - MAC       IP,SM,DNS,GW               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매핑 테이블 

 

 

 

*DHCP는 BOOTP의 매핑 테이블 호환 

동적할당이라는 기능이 추가됨 

매핑테이블에 정의하고 할당 - 정적할당 

매핑테이블에 없는 컴퓨터에 할당 - 동적할당 

동적할당의 경우엔 Lease Time(초단위)이 있다

 

동적할당을 할 수 있는 범위는 SCOPE

전체 범위는 POOL

 

 

 

주소 바인딩 

 

기본 임대 시간 10시간 

충전 최대 범위 20시간 

 

Lease Time의 50% 정도 됐을 때 Renewal 

충전이 안된다면

Lease Time의 87.5% 정도 됐을 때 Rebinding

10시간 > 해지

 

리뉴얼 시에는 Request/ACK 과정만 있다 

 

 


 

 

1. dhcp 서버에 yum -y install dhcp 설치 

교재 85쪽 참고 

 

 

 

2. 

91쪽 스위치로 dhcp 

 

 

3. 

93쪽 dhcp relay agent

 

l3 스위치의 게이트웨이가 출발지가 되줌 

 

 

***리눅스에서 dhcp설정시 자신의 ip대역대는 무조건적으로 포함되어야한다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 DHCP 

 

vi /etc/selinux/config

SELINUX=disabled

init 6로 reboot

 

<설치>

yum -y install dhcp 

 

<설정파일 복사>

cp /usr/share/doc/dhcp-4.1.1/dhcpd.conf.sample /etc/dhcp/dhcpd.conf

 

vi /etc/dhcp/dhcpd.conf

 

<가장아래에 다음 내용 쓰기>

 

vi /etc/dhcp/dhcpd.conf

vi 에디터로 dhcpd.conf 파일을 열고 명령 모드(ESC)에서 대문자 'G'키를 눌러 커서를 맨 마지막으로 이동한다.

그리고 소문자 'o'키를 누른 뒤 아래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.

subnet 10.0.1.0 netmask 255.255.255.0 { // DHCP 풀 생성

range 10.0.1.10 10.0.1.250; // 할당할 아이피 범위

option domain-name-servers 168.126.63.1; // DNS 서버 지정

option domain-name "kornet"; // 연결별 DNS 접미사 지정

option routers 10.0.1.254; // 게이트웨이 지정

option broadcast-address 10.0.1.255; // 브로드캐스트 주소

default-lease-time 1200; // 기본 임대 시간(초)

max-lease-time 7200; // 최대 임대 시간 (클라이언트가 최대 임대 시간보다 더 긴 임대 시간을 요청하면 할당해주지 않음)

min-lease-time 600; // 최소 임대 시간




/etc/init.d/dhcpd restart

DHCP 데몬(서비스 처리 프로세스)을 재시작한다. (CentOS 6)

 

chkconfig dhcpd on

부팅 시 DHCP 데몬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.

 

cat /var/lib/dhcpd/dhcpd.leases

어떤 아이피를 누구에게 할당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파일이다.

 

'IT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계정에 rpm 설치 권한이 없을 때  (0) 2020.12.25
DB MySQL 연습  (0) 2020.10.03
7/29 역방향 DNS/ 메일 서비스  (0) 2020.07.29
7/9 FTP, 디스크관리  (0) 2020.07.09
리눅스 페도라2. 사용자관리  (0) 2020.05.24